
작성자 : 이해구 Lecture Studty node list Lecture 0 : MIT 6.800/6.843 Robotics Manipulation :: Introduction (현재 글) Lecture note : https://manipulation.csail.mit.edu/intro.html Lecture Video : https://www.youtube.com/watch?v=PGY-4LOPs7U&t=2s Manipulator은 단순한 Pick and Place 이상이다. 큰 상자에서 물체를 집어 다른 상자로 옮기는 것을 Pick and Place라고 하며, 이는 과거의 산업용 로봇에서 부터 오래동안 행해져 왔다. 최근에는 딥러닝을 인식에 사용하면서, 다양한 물체에 대한 Pick and plac..

작성자 : 이해구 Lecture Studty node list Lecture 0 : MIT 6.800/6.843 Robotics Manipulation :: Introduction Lecture 1 : MIT 6.800/6.843 Robotics Manipulation :: Motion planning(1) Lecture note : https://manipulation.csail.mit.edu/pick.html Lecture Video : https://www.youtube.com/watch?v=ZOXp_wixIzo&list=PLkx8KyIQkMfVRPReg9FHtBk_RGEwnVxU-&index=3 Drake 교수님은 Notation에 대한 중요성을 이야기한다. 개인적으로 나도 Notation 때문에..

#모션플래닝 #로봇 #연구 #공부 #로봇공학 Motion planning optimization-based Motion planning이 거창해 보일 수는 있지만, 단순히 로봇팔의 초기 자세에서 differential IK를 풀어서 물체에 다가가는 것도 하나의 Motion planning이 될 수 있다. (물론 손으로 직접 작성한 Motion planning이지만) 다만, 이렇게 하지 못하는 이유는 주변 환경이 더욱 복잡해지고, 제약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인식에 대한 고려도 해야겠지만, 로봇이 Plan 할 수 있는 것도 고려해야 된다. 이번 수업에서는 Planning trajectory, 로봇 팔의 경우 조인트 q 값에 대한 Trajectory를 구하는 방식들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 한다. 다양한 MP 방..

Momentum Observer-Based Collision Detection using LSTM for Model Uncertainty Learing 저자 : Daegyu Lim, Donghyeon Kim, Jaegeung Park 논문 : https://ieeexplore.ieee.org/document/9561667 작성 : 이해구 개인적인 공부를 위해 작성하는 논문 리뷰입니다. 완변학 이해 없이 읽으면서 작성하였기 때문에 이상한 부분들이 많습니다. 댓글에 저보다 잘하시는 분들이 틀린점을 수정해주실 수 있으니, 댓글을 봐주시면 더 좋을 수도 있습니다 ABSTRACT 로봇이 사람들과 같이 협동하게 되면서, 안정성을 매우 엄격하게 보장되어야만 한다. 충돌회피 알고리즘가 더불어서 충돌을 고려하는 (Col..

Mobile manipulation in unknown environmets with differential inverse kinematics Control 저자 : Adam Heins, Michael Jakob, and Angela P.Schoeling 논문 : https://ieeexplore.ieee.org/document/9469430 작성 : 이해구 개인적인 공부를 위해 작성하는 논문 리뷰입니다. 완변학 이해 없이 읽으면서 작성하였기 때문에 이상한 부분들이 많습니다. 댓글에 저보다 잘하시는 분들이 틀린점을 수정해주실 수 있으니, 댓글을 봐주시면 더 좋을 수도 있습니다 ABSTRACT 모바일 매니퓰레이터는 모바일 로봇의 넓은 워크스페이스와 로봇 팔의 상호작용을 합쳐서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Compliance와 Force control에 대하여 과거 학부생 시절에는 전류제어, 힘제어, 강성제어, 임피던스 제어 등에 대한 차이를 모르고 있었다. 어쩌면 비슷해 보이지만 실상은 조금씩 다른 개념들이며 어떤 개념들은 더욱 상위 개념이기도 한 이들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한다. 그 중 Compliance 와 Force control에 대해 이야기해보자. 힘 제어의 경우 로봇 팔이 접촉하는 경우에 있어서 힘과 위치 값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을 때 적용 가능하다. 위치 값은 조인트 각도값으로 계산할 수 있고, 힘의 경우 Force Torque 센서나 Joint Torque sensor를 통해, 전류 값을 계산하여 측정할 수 있다. 힘과 위치 값을 피드백 받아 궤적을 수정 할 수 있는 게 힘 제..

과거의 Observer부터 현대의 Observer를 설명해보려 한다. 과거의 Observer는 간단한 정의만 다루고 현대의 Observer를 자세히 설명하겠다. 1. Plant Output Based Estimator(OBE) Plant의 결과(Output)값으로부터 정보를 관측하는 관측기이다. 이를 기준으로 한 Observer로 low pass noise filter, apporixmatic differentiator, 알파-베타-감마 필터가 있다. 2. Input and Output Based Observer(IOBO) = Luenberger Observer OBE와 IBE를 합쳐둔 걸로, measure data를 피드백 해주는 형태의 관측기이다. 따라서 Closed loop observer라..

Position control 로봇 제어에 있어서 위치제어를 먼저 설명해보려 한다. 로봇 팔 끝단을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Joint space에서의 제어와 Cartesian space에서의 제어가 있다. 따라서 Joint space 제어기와 Cartesian space 제어기 2개가 존재한다. 이 글에서는 각 제어기가 사용하는 PD제어기나 PID제어기를 설명해보려 한다. Proportional derivative controller PD제어기는 로봇 팔 끝단의 위치오차와 이의 미분 값이 속도 오차의 비례항으로 구성된다. 이는 일반적인 PD 제어기와 전혀 다를게 없다. Kp와 Kv 값에 따라서 시스템 응답이 달라지게 된다. 이들 값은 시스템의 고유진동수와 댐핑 계수에 연관이 있다. 이 두개 값은 과도구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