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성자 : 이해구 Lecture Studty node list Lecture 0 : MIT 6.800/6.843 Robotics Manipulation :: Introduction Lecture 1 : MIT 6.800/6.843 Robotics Manipulation :: Motion planning(1) Lecture note : https://manipulation.csail.mit.edu/pick.html Lecture Video : https://www.youtube.com/watch?v=ZOXp_wixIzo&list=PLkx8KyIQkMfVRPReg9FHtBk_RGEwnVxU-&index=3 Drake 교수님은 Notation에 대한 중요성을 이야기한다. 개인적으로 나도 Notation 때문에..

Position control 로봇 제어에 있어서 위치제어를 먼저 설명해보려 한다. 로봇 팔 끝단을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Joint space에서의 제어와 Cartesian space에서의 제어가 있다. 따라서 Joint space 제어기와 Cartesian space 제어기 2개가 존재한다. 이 글에서는 각 제어기가 사용하는 PD제어기나 PID제어기를 설명해보려 한다. Proportional derivative controller PD제어기는 로봇 팔 끝단의 위치오차와 이의 미분 값이 속도 오차의 비례항으로 구성된다. 이는 일반적인 PD 제어기와 전혀 다를게 없다. Kp와 Kv 값에 따라서 시스템 응답이 달라지게 된다. 이들 값은 시스템의 고유진동수와 댐핑 계수에 연관이 있다. 이 두개 값은 과도구간..

간단한 Null space control 문제를 풀어보자. Task space가 2차원으로 주어진 경우에서 3자유도를 가진 로봇을 움직일 때를 생각해보자. 로봇팔의 자유도보다 Task space가 작기 때문에 redundant라고 볼 수 있으며, 여자유도가 남아 Null space control이 가능해진다. 간단하게 1번,2번 조인트를 최소로 움직이도록 하는 Target function을 정해보자. 앞선 글에서 말한 Target function이 추가된 pseudo inverse 식은 아래와 같아진다. 위 식을 풀어서 로봇 팔을 움직이게 되면 Target function을 optimal하게 풀게 되며, 이는 일반적인 pseudo inverse kinematic을 풀어서 움직인 로봇 팔과 비교했을 때 확..